닌텐도 스위치2 vs 스위치1: 뭐가 얼마나 달라졌을까?
닌텐도 스위치2, 단순한 업그레이드일까요? 알고 보면 거의 신형 콘솔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스위치1을 6년 넘게 써온 유저예요. 근데 이번에 스위치2가 출시되면서 “아, 이건 그냥 안 바꿀 수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단순히 성능이 좋아진 게 아니라, 거의 모든 하드웨어가 재설계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제가 관심 가졌던 부분은 그래픽, 저장소, 조이콘의 변화였고, 막상 써보니까 기대 이상이었어요. 이 글에서는 그런 궁금증을 품고 계신 분들을 위해 스위치1과 스위치2의 모든 차이를 조목조목 비교해볼게요.
목차
1. CPU·GPU·압축 해제 엔진 등 핵심 성능
닌텐도 스위치2는 삼성의 8nm 공정으로 제작된 SoC를 기반으로 합니다. CPU는 ARM Cortex-A78C 8코어, GPU는 NVIDIA Ampere 아키텍처의 1536 CUDA 코어로 구성되어 있죠. 거기에 더해 DLSS 3.x와 레이 트레이싱까지 지원하니까, 사실상 “닌텐도판 RTX 3050 랩탑급” 성능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File Decompression Engine'이라는 전용 압축 해제 하드웨어가 탑재되어 있다는 거예요. 기존 스위치1에서는 CPU가 맡던 LZ4 압축 해제를 별도 회로가 처리하기 때문에 로딩 속도나 발열 관리에서 엄청난 이점을 가집니다.
2. 화면, 사운드 품질 변화
항목 | 스위치1 | 스위치2 |
---|---|---|
디스플레이 | 6.2인치 720p LCD | 7.9인치 1080p LCD + HDR10 |
주사율 | 60Hz | 최대 120Hz (휴대 모드 한정) |
사운드 | 기본 스테레오 스피커 | 고성능 오디오 칩 + 3D 공간 오디오 지원 |
3. Joy-Con 2의 진화된 설계
Joy-Con 2는 외형부터 기능까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무엇보다 자석 탈부착 방식으로 바뀐 게 체감이 크더라고요. 게다가 버튼과 스틱도 커졌고, 마우스 컨트롤이 가능한 광학 센서까지 들어가 있어요.
- 자석 부착 방식으로 아이들도 쉽게 탈착 가능
- 마우스 컨트롤 + 광센서 탑재로 정밀한 조작 가능
- HD 진동 2 탑재, 기존보다 강하고 정밀한 피드백
4. 저장소 확장성과 microSD Express 문제
스위치2는 내장 저장소가 256GB로 대폭 늘어났지만, microSD 확장은 예상 외로 불편함이 따릅니다. 기존 스위치1이 쓰던 일반 microSD 카드는 스위치2에서는 읽기 전용으로만 작동되고, 쓰기가 불가능해요. 스위치2는 microSD Express라는 차세대 규격만 완전 지원하는데, 문제는 이 규격의 카드가 현재 시중에 거의 없고 가격도 매우 비싸다는 점이죠. 정식 사용을 위해선 2024년 말부터 본격 유통될 microSD Express를 기다려야 합니다.
5. 공식 가격 및 구성품
항목 | 스위치2 |
---|---|
출시 가격 | ₩648,000 (공식 홈페이지 기준) |
구성품 | 본체, Joy-Con 2, 독, HDMI 케이블, AC 어댑터 |
6. 주요 차이점 요약 정리
정리해보면 닌텐도 스위치2는 거의 차세대 콘솔 수준의 개선을 보여줍니다. 다음 리스트로 주요 차이점을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 CPU/GPU: Ampere 기반 DLSS3 + A78C 8코어
- 압축 해제 엔진: 전용 File Decompression Engine 탑재
- 화면: 1080p + HDR10 + 120Hz 지원
- 사운드: 고성능 오디오 칩 + 3D 공간 오디오
- Joy-Con: 자석식 부착, 마우스 컨트롤, HD 진동 2
- 저장소: 256GB 내장 + microSD Express만 완전 지원
- 가격: ₩648,000 (공식 홈페이지 기준)
대부분의 스위치1 게임은 스위치2에서 그대로 플레이 가능합니다. 다만 전용 기능을 활용하는 일부 신작은 스위치2에서만 가능할 수 있어요.
네, 호환됩니다. 하지만 Joy-Con 2는 새로운 기능이 많기 때문에 가능한 한 Joy-Con 2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읽기 전용으로는 사용 가능하지만, 쓰기는 안 됩니다. microSD Express 규격만 완전 지원합니다.
DLSS는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AI로 고화질로 업스케일하는 기술로, 더 낮은 연산으로 더 좋은 그래픽을 구현해줍니다.
출시 초기에 한해 고정 정가로 판매되며, 일정 기간 이후에는 번들 패키지나 한정 할인 이벤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대 4K 해상도에 60프레임까지 지원하며, 일부 게임은 120Hz도 가능합니다. 단, 게임별로 차이는 있습니다.
닌텐도 스위치2는 단순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거의 차세대 게임기의 탄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뭐 그냥 해상도랑 그래픽 좀 좋아지겠지” 정도로 생각했는데, 써보니까 이건 그냥 완전 다른 기기예요. 독 모드 4K, HDR, DLSS, 조이콘의 새로운 진동감과 마우스 컨트롤, 거기에 압축 해제 전용 하드웨어까지! 이런 기능들이 게임하는 내내 체감됩니다. 이 글이 구매를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여러분의 경험과 의견도 댓글로 많이 공유해주세요!
'전자제품 비교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용 경도계 비교: PCE-2000, Hartip 3000+, 미쓰토요 HH-411A, Equotip 550, Phase II PHT-3500 (0) | 2025.06.22 |
---|---|
삼성 DDR4 UDIMM 메모리(램) 완벽 비교 (1) | 2025.06.22 |
아이폰 16 프로맥스 vs 갤럭시 S25 울트라 비교 추천 (2) | 2025.05.15 |
아이폰 16 시리즈 비교: 일반 vs 플러스 vs 프로 vs 프로맥스 (5) | 2025.05.15 |
올해 어린이날 뭐 주지? 2025년 인기 선물 트렌드 한눈에 보기 (12) | 2025.04.16 |